정부 지원을 받아 중증외상 전문의를 육성해온 고려대구로병원 ‘중증외상 전문의 수련센터’가 예산 부족으로 문을 닫게 됐다. 사실상 정부 지원을 받는 유일한 중증외상 수련기관이 사라지는 것이다.
5일 의료계에 따르면 고대구로병원은 정부 지원금 중단에 따라 수련센터를 이달 28일까지만 운영하기로 했다. 2014년 국내 첫 보건복지부 지정 서울지역 외상 전문의 집중 육성사업병원으로 선정돼 센터를 세운 지 11년 만이다.
이곳은 외상 전문의 수련에 필요한 교육 훈련비 등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아 국가장학 외상 전문의를 육성해 왔다. 외상 전문의는 외과·흉부외과 전문의 등이 세부 전공이다. 외상외과를 선택한 뒤 2년 동안 추가 수련을 받아 세부 전문의 자격을 얻는다.
정부는 그동안 연간 9억원가량의 예산을 센터에 지원했다. 그 결과 해마다 두 명 안팎의 외상 전문의를 배출, 누적 인력이 20여명에 달한다. 그러나 올해 정부 예산이 끊기면서 고대구로병원이 센터를 계속 끌고 가기 어려워졌다.
다만 수련센터 운영만 중단되고, 중증외상환자 진료 기능은 그대로 유지된다.
복지부는 당초 병원을 지원하기 위한 센터 예산을 편성했지만,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사라졌다고 설명했다. 복지부가 낸 예산안이 기획재정부에서 깎였다가 국회 보건복지위를 거쳐 살아났지만, 국회 증액 심의가 이뤄지지 않아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다시 전액 삭감됐다.
앞서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작년 8월 필수의료 살리기 등 의료개혁 작업에 5년간 국가 재정 10조원, 건강보험 10조원을 각각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필수의료 분야로 꼽히는 외상외과 예산 지원부터 구멍이 생기게 됐다.
중증외상은 환자가 교통사고·추락 등으로 심각하게 다쳐 목숨이 위급한 상황이다. 그만큼 외상외과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글로벌 1위를 기록한 넷플릭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 주인공도 외상외과 전문의다.
힘들고 돈 안 되는 곳으로 여겨지는 비인기 과목이라 외상 전문의 육성은 가시밭길이다. 대한외상학회가 자율적으로 수련기관을 지정해 세부 전문의를 키우는 제도를 운영 중이지만, 정부 지원 기관이 사라지면서 인력 수급도 한층 어려워질 거란 전망이 나온다.
한 대학병원 교수는 “외상외과 세부 전문의 수련을 받으려는 지원자가 별로 많지 않다”면서 “정부 지원까지 끊기면 지원율이 더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안정적인 예산 지원으로 필수의료 인력 키우기를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자 프로배구 IBK기업은행 출신 조송화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시민들을 ‘빨갱이’라고 표현해 논란이 일고 있다.
조송화는 4일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 생중계 영상을 올리며 “진짜 독재가 뭔지도 모르고 자유가 뭔지도 모르는 빨갱이들이 왜 이렇게 많음. 어질어질하다”고 적었다.
지난달 31일에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옹호하고 부정선거 의혹을 주장하는 한국사 강사 전한길의 유튜브 채널 ‘꽃보다전한길’ 영상 시청을 인증하며 ‘좋아요’를 누르기도 했다.
이를 두고 일부 네티즌들이 항의성 DM(다이렉트 메시지)을 보내자 “내가 보고 싶은 거 보겠다는데 나한테 DM 왜 보내냐” “할 일 없으면 너네도 좀 봐”라고 반응했다.
조송화는 IBK기업은행 주장이자 주전 세터로 활약했지만, 2021년 서남원 당시 감독에게 항명하며 두 차례 팀을 무단이탈해 구단으로부터 계약 해지를 통보받았다. 이후 무단이탈이 아니라며 계약 해지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했으나 1·2심에서 모두 패소했다.
한편, 2021년 12월 자유신분선수로 공시된 그는 배구 선수로 복귀를 원했으나 어느 팀도 영입하지 않으면서 결국 코트를 떠났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