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소지 및 상습 투약 혐의로 2년형을 받았던 방송인 돈스파이크가 최근 출소했다.
17일 돈스파이크는 이달 초 징역 2년의 형기를 마치고 출소했다. 돈스파이크는 출소 후 자숙의 시간을 보내며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스테이크 레스토랑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돈스파이크는 지난 2021년 말부터 총 9회에 걸쳐 4500만 원 상당의 필로폰을 구매하고 14차례 투약한 혐의로 2022년 재판에 넘겨졌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 필로폰과 엑스터시 등을 7차례 건네고, 20g 상당의 필로폰을 소지한 혐의도 받았다.
지난 2010년에는 대마초 혐의로 벌금 500만 원을 선고받았고 같은 해 10월에도 별건의 마약 혐의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기도 했다.
검찰은 1심에서 돈스파이크에게 징역 5년, 증제 몰수, 재활치료 프로그램 이수 200시간 명령, 추징금 3985만 7500원을 구형했다. 다만 재판부는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 보호관찰과 사회봉사 120시간, 약물치료 강의 수강 80시간, 추징금 약 3985만 원을 명령했다.
검찰은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으며, 2심 재판부는 지난 2023년 원심 판결을 깨고 돈스파이크에게 징역 2년을 선고했다. 돈스파이크는 법률 대리인을 통해 상고장을 제출했으나, 대법원은 그해 9월 징역 2년을 선고한 원심 판결을 확정했다.
한편 돈스파이크는 1996년 포지션 객원멤버로 데뷔 후 작곡가로 활동하며 여러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 먹방 콘텐츠로 인기를 얻었다.
안국약품과 동국제약이 다이소에 건강기능식품을 납품한다. 지난달 대웅제약, 종근당건강 등이 5000원 미만의 영양제를 판매하기로 하면서 다이소가 제약업계 건강기능식품의 '격전지'로 떠오르자 안국약품과 동국제약도 참전해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됐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안국약품과 동국제약은 내달 중으로 다이소에 건강기능식품 제품을 입점시킬 예정이다. 두 회사는 다이소의 가격 정책에 맞춰 3000~5000원대의 비타민제를 비롯한 영양제를 출시할 계획이다.
앞서 안국약품과 동국제약은 각각 뷰티 브랜드 메디페르와 마데카21를 다이소에 선보여 매출 상승효과를 톡톡히 봤다. 기존 홈쇼핑, 오픈마켓, 자사몰 등의 온라인 판매에 채널이 국한됐었던 화장품이 다이소를 통해 오프라인 채널로 확장되고 다양한 연령대의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동국제약의 기타 부문(화장품 및 기타 의약품 부문) 매출은 2021년 1414억 원에서 작년 2656억 원으로 3년 새 81.40% 증가했다. 이번 건강기능식품을 입점을 통해서도 판매 채널을 다변화하고 매출 증대를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안국약품과 동국제약 외 다수의 제약사도 현재 다이소 입점을 논의 중이다. 지난달 다이소가 건강기능식품 판매를 개시한 이후 시장 반응은 폭발적이다. 다이소의 건강기능식품 판매액은 하루 약 2억원으로 추정된다.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상반기 내로 더 많은 제약업체들이 다이소를 통해 건강기능식품을 선보일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다만 다이소의 건강기능식품 판매 확대를 둘러싼 논란은 여전하다. 앞서 다이소는 지난달 24일부터 종근당건강, 대웅제약, 일양약품 등의 건강기능식품 35종의 판매를 개시했지만, 대한약사회 등 약사 단체의 반발에 부딪혔다. 이로 인해 일양약품은 제품 판매를 닷새 만에 철수했다. 그러나 공정거래위원회가 약사회의 행위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위반에 해당하는지 조사에 착수했고 소비자 반발 여론도 거세지면서, 종근당건강과 대웅제약은 건강기능식품 판매를 유지하기로 했다.
댓글 영역